도시 건설 시뮬레이션 심시티에 대해서

728x90

심시티 1편을 먼저 했었는지, 2편을 먼저 했었는지 기억이 잘나지 않지만, 처음 이 게임을 접했을때, 이런게 게임? 게임 맞아? 라고 생각을 했었지만, 마우스를 놓을수가 없었다. 심시티는 처음으로 도시 건설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시뮬레이션 게임인데 그 당시에는 이런 개념 조차 없던 시절이라, 플레이를 하면서 상당히 충격을 먹었으며, 인터페이스 조차 생소해서 친구랑 둘이서 앉아 하나 하나 알아가며 즐겨던 기억이 있다.


황량한 벌판에 강이 구비 구비 흐르는 도화지 같은 지형에 발전소를 만들고, 도로를 건설하면 집, 상가, 공장들이 옹기종기 생겨나기 시작하는게 그 당시에는 얼마나 신기하고, 흐뭇했었는지 한참을 처다보고 있기도 했었다. 어찌보면,  굉장히 복잡하고 따분한 게임으로 생각될수도 있겠지만, 심시티의 다른 뛰어난 점은 시뮬레이션의 진지성과 게임성이 모두 적절하게 녹아 있었다고 생각된다. 솔직히 어린시절에 플레이를 했었는데, 당시에 정책이랄지 도로 정책이이랄지 이런걸 잘 알리가 없었다. 하지만 그런걸 잘 이해하지 못하고 플레이 하더라도 도시를 건설하는데에는 별다른 무리가 없을 정도록 캐쥬얼한 면도 있었던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런 심시티도 버전을 거듭할수록 상당히 복잡해져 갔다, 모든 작을 다 즐겨본건 아니지만, 2차원적인 View화면에서 3차원적인 View화면으로도 변경이 되고, 하나의 맵에서 도시를 건설하던것이, 다른 멥과의 연결을 통해, 생산된 자원을 서로간 교류를 할수 있는 시스템도 추가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2013년 발매된 심시티를 해보면서, 상당히 실망을 했던 기억이 있다. 이전작들과 다르게 멥이 크기가 상당시 줄어들어 과연 이게 심시티인가라는 생각이 들며, 일간에서는 심타운이라는 비아냥을 거리는 말들도 상당히 많았다. 거기에 최적화의 실패로 게임 진행에 상당히 매끄럽지 못했으며, 초기에는 오로지 온라인 모드로만 플레이 가능한데 서버상태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유저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뒤늦게 오프라인 모드를 넣어 줬으며,  이후에 발매되는 DLC들 조차, 그리 매력적이지 못한 게임으로 남게 되었다. 특히 맵의 소형화 때문에, 한계가 있던 심들의 인구수를 매가타워라는 생태거주지가 생겼는데, 아기자기한 심들의 이동 및 생활을 즐기는게 하나의 재미인데, 그냥 건물만 크게 쌓아 올릴수 있도록 만들어놓고 많은 인구가 거주한다는 설정이 그다지 마음에 들지는 않는 설정이었다. 


그러나 도시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RCI 수요는 개별 도시나 지역이 아닌 같은 광역에서 플레이 하는 전체 유저들의 도시 나 지역을 대상으로 계산된다는 것과 각종 특성산업을 통해 만들어낸 자원 및 제품들을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처음으로 이런 시뮬레이션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친구랑 같이 즐길수 있는 점은 괜찮은 발상이었던것 같다. 


아무튼 이런 심시티도 이제 더 이상 추가 발매는 없다고 하나, 예전의 심시티를 현시대에 맞겠금 옮겨놓은듯한, 시티즈 같은 대체 게임도 있으니, 아직 관련 게임들의 인기는 계속 될것 같은 생각이 든다.

728x90

댓글